본문 바로가기

경제 및 투자

사회적 자본 / 제3의 자본 / 신뢰

 사회적 자본은 제3 자본이라고 합니다. 기계나 땅과 같은 물질 자본 기술이나 교육과 같은 인적 자본 외에 사람들이 서로를 믿고 협동해 함께 일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본이 바로 사회적 자본이다. 사회적 자본은 신뢰나 상호주의 등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적 자본은 인적, 물적 자본 등 경제적 자본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사회 구성원들이 신뢰와 협력을 바탕을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사회적 조건 또는 특성을 말한다. 사회적 자본의 측정지표에 교육 수준이나 소득 수준 등 경제적 요소는 포함되지 않는다.

 

D. Putnam

 사회적 자본을 여러 학자들이 정의했는데 Putnam은 상호 이익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정과 협력을 촉진시키는 네트워크, 규범 그리고 사회적 신뢰와 같은 사회조직의 특징이라고 정의했다.

 

fukuyama

 Fukuyama는 구성원간의 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한 집단의 구성원들 사이에 공유된 어떤 일단의 비공식적인 가치 또는 규범 내지 신뢰라고 정의했다. 

 

 신뢰는 복잡한 사회적 시스템을 움직이게 해주는 윤활제와 같은 역할을 한다. 신뢰는 사람들이 같은 가치와 문화를 기반으로 생겨난다. 그리고 신뢰를 포함한 사회적 자본은 이웃이나 회사, 조직, 한 사회 등 많은 사람들의 생활에 영향을 미친다.

 

 사회적 자본은 사람들 간에 거래의 비용을 낮춰준다. 사람들이 서로를 신뢰하지 않는다면 신용장을 서야 하고, 변호사를 선임하고 보증을 서야 한다. 이러한 거래는 비용이 발생하고 거래의 횟수를 줄여버린다. 사회적 자본인 신뢰는 불필요한 거래 비용을 줄여준다.

 

 첫째, 서로 상대를 신뢰하면 비즈니스 파트너를 조사하고 계약 이행이 잘 되는지를 모니터하고 변호사를 선임하여 계약을 공증하는 등의 부대 비용을 아낄 수 있다. 만약 상호 신뢰가 없다면 금방 끝날 일들이 1년, 2년 동안 계약이 미뤄질 수도 있다.

 

 둘째, 신뢰는 사회적 대립을 줄여준다. 경제 공황과 같은 큰 위기 상황에 신뢰는 큰 힘을 발휘한다. 정당이나 정부, 국민 사이에 신뢰가 있는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경제공황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이 나오면 서로 상충된 의견 충돌로 시간 낭비하는 일이 없이 최단시간에 합의점에 도달할 수 있다.

 

 

 Putman은 이탈리아를 사례로 한 연구에서 사회적 자본이 거시적 측면에서 민주주의의 확립은 물론 제도적 성과나 효율성을 높여준다고 얘기했다 putnam은 이탈리아 지방자치제도를 추적, 연구한 결과 사회적 자본이 돈독한 북부지방은 성공을 거둔 반면 남부지방은 사회적 자본이 취약하여 실패한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사회적 자본, 신뢰는 개인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신뢰가 높은 나라의 국민들은 대체적으로 행복지수가 높다. 사회적 자본이 높은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 등의 나라 국민이 그 예이다. 신뢰가 높으면 소득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심리적으로 안정감도 주기 때문이다.

 

 사회적 자본의 특징으로는 배타적으로 소유되는 것이 아니라 공유된다. 그리고 사회 구성원들이 지속적으로 유지하려는 노력이 있어야 형성 유지된다. 그리고 등가물의 교환이 아니다. 경제적 거래처럼 주고받는 만큼 줄어드는 제로섬 관계가 아니라, 사용할수록 총량이 느는 선순환 관계이다.

 

 우리나라의 사회적 자본은 어떨까? Fukuyama는 한국, 중국, 프랑스 등은 사회적 자본이 낮은 나라로 분류했다. 그리고 이러한 낮은 신뢰는 사회적 비효율을 야기한다고 말한다.

 

 

사회적자본(경제적 자본에 이은 또 다른 자본, 사회적 비용을 줄여주는 보이지 않는 자본) - KBS<사회적 자본> 제작팀

 

사회적자본(경제적 자본에 이은 또 다른 자본, 사회적 비용을 줄여주는 보이지 않는 자본) - KBS<��

꽤 오래전에 혼자 서점 구경을 하다가 우연히 발견한 책입니다. 그 당시에 전 신뢰에 관심도 없었습니다. 경제와 돈에 대해 좀 더 알고 싶었는데 사회적자본에서 뒤에 자본이 붙어서 이것도 돈��

fortitudecaesar.tistory.com